숨어 지내는 결핵이 있다고요? ‘잠복결핵’ 들어보셨나요?

0

우리나라는 결핵 유병률이 높은 국가입니다. 2016년 기준,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0,000명당 약 77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20년째 1위라는 불명예를 가지고 있습니다. (OECD 평균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0,000명당 약 11명입니다) 또한 결핵으로 인한 사망률도 높은 실정입니다. 우리나라는 결핵에서만큼은 ‘후진국’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세계 결핵 사망률
2012년 백만 명 당 결핵 사망자 수 (노란색 0~3명, 주황색(우리나라) 46~83명, 적색 444~1359, 출처 : 위키미디어)

다행인 것은 결핵이라는 병 자체가 대중에게 많이 알려져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가 결핵이라고 말하는 병은 일반적으로 활동성 결핵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잠복결핵’이라는 다른 형태의 결핵이 있다는 것을 잘 모르는 분이 많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 중 약 33% 정도가 잠복결핵에 감염되어 있다고 합니다. 많은 사람이 감염된 잠복결핵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흔히 알고 있는 결핵(활동성 결핵) 과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오늘은 잠복결핵(Latent Tuberculosis)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잠복결핵(Latent Tuberculosis)이란?

결핵균 전자현미경사진
결핵균 전자 현미경 사진 (출처 : 위키피디아)

결핵균에 감염되었지만, 몸 안에 소수의 결핵균만이 존재하는 상태입니다. 결핵 증상이 없으며, 몸 밖으로 결핵균이 전파되지 않아 사람 사이에 전염성이 없고, 가래 항산균 검사(Sputum AFB Stain)와 가슴 X선 검사(Chest X-ray)에서는 정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즉, “무증상이고 전염력이 없는 상태의 결핵”, “활동성 결핵의 전 단계에 있는 결핵”을 잠복결핵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말 그대로 결핵균이 ‘잠복’해 있는 그 상태 자체로 이해하면 됩니다. 이런 잠복결핵에 걸린 상태를 잠복결핵감염(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원인, 역학, 특징

결핵균 가래 항산균 검사
결핵환자의 가래 항산균 검사 결과(적색이 결핵균, 출처 : 위키피디아)

앞서 잠복결핵의 정의에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잠복결핵은 소수의 결핵균에 의해 신체가 감염된 상태입니다. 결핵균에 의해 감염된 정도가 약하므로 결핵 같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눈에 띄는 병변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즉, 잠복결핵의 증상은 없습니다. 또한 일반적인 결핵 검사인 가래 항산균 검사(Sputum AFB Stain)에서는 결핵균이 없다는 결과만 보이게 되며 가슴 X선 검사(Chest X-ray)에서도 특별한 병변이 보이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잠복결핵 감염자의 약 10% 정도가 활동성 결핵이 됩니다. 잠복결핵이 없는 사람이 결핵에 걸리는 비율보다 높습니다. 잠복결핵에 감염된 사람의 면역력이 약해진다면, 그 틈을 타서 체내에 있던 소수의 결핵균이 잘 증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유하자면 잠복결핵은 활동성 결핵의 씨앗과도 같습니다. 균이 잘 증식할 수 있는 여건만 되면(면역력 결핍) 결핵으로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잠복결핵의 증상

잠복결핵의 증상은 없습니다. 즉, 결핵에 해당하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결핵의 대표적인 증상은 약 2주 이상 지속하는 기침, 피 섞인 가래, 체중 감소, 야간에 나타나는 식은땀 등인데 이런 증상이 하나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잠복결핵은 오로지 잠복결핵 확인을 위한 검사를 통해서 의심하고 발견해서 진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진단 및 검사

잠복결핵을 진단할 수 있는 검사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Tuberculin Skin Test, TST) 또는 인터페론감마 분비 검사(Interferon-Gamma Releasing Assay, IGRA)입니다.

Original Title: wheal 48.tif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TST)는 결핵균 항원을 피내 주사(피부 바로 아래에 주사)를 해서 볼록 튀어나오게끔 팽진(Wheal)을 만듭니다. 48~72시간 이후 팽진의 반응을 측정해서 진단합니다. 예전에 BCG 결핵 예방접종을 받았다면 이 검사는 가짜 양성(실제로는 잠복결핵이 아니지만, 잠복결핵에 해당하는 결과가 나오는 경우)이 나온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인터페론감마 분비 검사(IGRA)는 혈액검사입니다. 검사 대상자의 혈액 안에 있는 T 림프구라는 면역세포를 결핵균의 특이 항원과 반응시키면 인터페론감마라는 물질이 분비되는데 이를 측정해서 결핵균이 있는지를 알아내는 원리입니다. 투베르쿨린 피부반응 검사(TST)를 대체하는 유용한 검사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잠복결핵 정의에 따라 가래 항산균 검사(Sputum AFB Stain), 가슴 X선 검사(Chest X-ray)를 시행해서 현재 활동성 결핵이 아니라는 것도 확인해야 합니다. 잠복결핵이 진단되었을 때 치료를 시작할 수 있으므로 기본 혈액검사, 소변검사 등도 검사할 수 있습니다.

 

치료 대상자 선정과 치료

잠복결핵의 치료 목표는 잠복결핵 감염자가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하는 것을 예방하자는 것입니다. 잠복결핵 자체로는 전파 위험성이 없지만, 잠복결핵을 가지고 있으면 결국 활동성 결핵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전파의 위험성도 덩달아 높아집니다. 개개인으로 봤을 때는 본인이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에 속한다면 치료해야 합니다. 집단으로 본다면 집단 내에서 결핵의 전염과 파급효과가 클 경우에 치료해야 합니다.

sick-old-woman

잠복결핵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HIV 감염인(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감염인), 장기이식을 받고 면역억제제를 복용하고 있거나 복용 예정인 사람, TNF 길항제를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 예정인 사람, 결핵치료를 한 적이 없음에도 가슴 X선 검사를 했을 때 자연적으로 치료된 결핵 병변이 보이는 경우, 최근 2년 내 잠복결핵 감염이 확인된 경우입니다. 이에 해당한다면 잠복결핵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또한 잠복결핵에 감염된 사람이 다음의 상황에 해당한다면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투석 받는 사람, 당뇨병을 앓고 있는 사람, 위 절제술이나 공회장 우회술(소장 일부를 우회하는 수술)을 받거나 받을 사람,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복용 중이거나 복용할 예정인 사람, 규폐증을 앓고 있는 사람입니다.

그 밖에 잠복결핵 감염인에게 잠복결핵 치료를 하는 것이 더 이득인 상황이라면 치료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결핵에 걸리면 집단 내에서 파급효과가 큰 경우에 해당하는 잠복결핵 감염인은 반드시 잠복결핵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주로 의료기관 종사자, 산후조리원 종사자, 교직원, 군인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치료는 결핵 약 중 일부를 복용하는 것입니다. 약물 복용법은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이소니아지드(Isoniazid, INH)와 리팜핀(Rifampin, RFP)을 3개월 복용
  2. 리팜핀(Rifampin, RFP) 만 4개월 복용
  3. 이소니아지드(Isoniazid, INH) 만 9개월 복용

이렇게 3가지 방법입니다.

약처방 의사

치료하면서 결핵 약에 의한 부작용이 발생하는지 꾸준히 진료를 받아야 하고 혈액검사, 소변검사 등의 검사를 시행합니다. 대표적인 부작용으로는 손발 저림, 피부발진, 가려움증, 울렁거림, 구토, 복통, 설사, 고열, 어지러움, 황달 등의 증상이 있습니다. 부작용의 종류와 강도에 따라 대처가 달라지기 때문에 의사의 적절한 지시에 따르면 됩니다.

 

예방과 관리

격리 조치가 필수적인 활동성 결핵과는 달리, 잠복결핵은 전염성이 없기 때문에 격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 식기를 공유하거나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고 해서 전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고 면역력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평소 운동을 꾸준히 하고 금연해야 합니다. 바르고 건강한 식습관을 들이고 적절한 체중을 유지해야 합니다. 손을 잘 씻는 습관을 지니고, 위생과 청결에 힘써야 합니다.

손씻기


또한 면역력을 떨어뜨릴 수 있는 스트레스, 과로, 불규칙한 생활 습관 등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잠복결핵은 치료를 받으면 활동성 결핵의 발생을 90% 이상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면 기간 내 약을 잘 먹는 것이 활동성 결핵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이상으로 잠복결핵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잠복결핵은 증상을 유발하는 심각한 질병은 아니지만, 활동성 결핵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기 위해 치료해야 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 최근 결핵 발생 시 집단 내 전파 위험이 큰 경우의 사람(의료기관 종사자, 군인, 학교 관계자, 집단시설 직원 등)을 대상으로 건강검진 항목에서 잠복결핵이라는 항목을 추가로 시행하는 잠복결핵감염 검진사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잠복결핵이 발견되었다면 당황하지 마시고 의료기관을 방문해주십시오. 진료와 검사를 받고, 치료가 필요하다면 반드시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기 바라겠습니다.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