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단백뇨
의학질문
작성자
박주형
작성일
2017-01-12 15:10
조회
7711
답변완료
질문시 성별, 나이, 자세한 증상 내용, 증상이 얼마나 지속되었는지, 다른 질병은 없는지와 같은 상세한 내용을 적어주시면 더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질문 내용이 짧을수록 답변은 부정확 할 수밖에 없습니다. 최소한 나이와 성별은 꼭 써주세요. 또한 치과 관련 질문은 답변을 해드릴 수 없고 정신과 관련 질문의 답변은 오래 걸릴 수 있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선 아래에 질문 내용을 작성하세요. 선 위의 내용은 지우셔도 됩니다. 질문내용을 선 아래 안쓰시고 제목에만 질문하시면 글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본 건강상담은 어떠한 경우에도 의사의 진료와 대체될 수 없으며
정식 진료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
저희 아버지가 3년?정도 단백뇨를 시작으로 신장관련 질병이 있으셔서 칼륨. 단백질. 등 해당 영양소를 섭취에 제한이있으신데요.
아버지가 자유롭게 고기나 야채를 드시질 못하니 옆에서 지켜만 볼 수 없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저도 나름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과일 야채에 칼륨이 많이있고 식물성 단백질 또한 신장에 큰 영향을 준다고 하니 어떤것을 드셔야할지 모르겠더라고요.
현재 아버지는 섭취한 칼륨을 억제시켜주는 약을 복용중이시며
또 다른 단백뇨약을 드시고계십니다.
어떤 종류.음식이 단백뇨환자가 먹기에 적합할까요?
기타 식생활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선 아래에 질문 내용을 작성하세요. 선 위의 내용은 지우셔도 됩니다. 질문내용을 선 아래 안쓰시고 제목에만 질문하시면 글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본 건강상담은 어떠한 경우에도 의사의 진료와 대체될 수 없으며
정식 진료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
저희 아버지가 3년?정도 단백뇨를 시작으로 신장관련 질병이 있으셔서 칼륨. 단백질. 등 해당 영양소를 섭취에 제한이있으신데요.
아버지가 자유롭게 고기나 야채를 드시질 못하니 옆에서 지켜만 볼 수 없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저도 나름 알아본 결과 대부분의 과일 야채에 칼륨이 많이있고 식물성 단백질 또한 신장에 큰 영향을 준다고 하니 어떤것을 드셔야할지 모르겠더라고요.
현재 아버지는 섭취한 칼륨을 억제시켜주는 약을 복용중이시며
또 다른 단백뇨약을 드시고계십니다.
어떤 종류.음식이 단백뇨환자가 먹기에 적합할까요?
기타 식생활도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신장관련 질환이 어떤 것인지 말씀해 주셔야 답변 드리기가 좀 더 수월합니다. 이유는 단백뇨가 문제라기 보다는 단백뇨는 신장의 이상으로 인해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신장의 이상이 무엇 때문에 왔는지를 알아야 그에 맞는 생활습관에 대한 소개를 해 드려야 더 확실하기 때문입니다.
신장의 이상이 오늘 질환에는 당뇨, 고혈압, 여러 이유로 신장 세포의 파괴 등등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한 이상이 생겨 장기간에 걸쳐 신장의 기능이 떨어지는 것을 만성 콩팥병(신부전)이라고 하는 것이고요.
어찌 되었건 간에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혈압과 혈당의 조절 입니다. 병원에서 처방해준 약제를 빠짐없이 복용하시고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몸 상태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식이에서는 저 단백 식단으로 드셔야 하는데 단백질의 양은 줄이되(아예 먹지 말라는 것이 아닙니다) 먹게 되는 단백질은 고생물가의 단백질인 달걀, 우유, 생선, 살코기와 식물성 콩 단백질을 섭취하셔야 합니다.
염분도 제한 해야 하는데 하루 5g 이하의 소금을 드셔야 합니다. 라면 하나 다 드시면 5g이 넘어가는 것이니 주의 하셔야 합니다.
칼륨은 만성 콩팥병 단계가 3~4인 경우 하루 2~4g 단계가 1~2인 경우 4g 이상 허용됩니다. 칼륨이 많은 음식은 도정이 덜 된 잡곡, 감자, 고구마, 옥수수, 밤, 팥, 근대, 무말랭이, 쑥갓 등과 과일은 참외, 토마토, 바나나, 복숭아, 키위 등이며 호두, 땅콩, 잣, 초콜릿, 코코아 등입니다.
신장 상태에 따라 먹을 수 있는 것들이 달라지니 병원에서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상태를 확인하시고 신장 기능 저하를 막아서 투석 시기를 연장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