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불안장애 약 끊을 수 있나요?
의학질문
작성자
이지원
작성일
2016-12-27 01:15
조회
7409
질문시 성별, 나이, 자세한 증상 내용, 증상이 얼마나 지속되었는지, 다른 질병은 없는지와 같은 상세한 내용을 적어주시면 더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질문 내용이 짧을수록 답변은 부정확 할 수밖에 없습니다. 최소한 나이와 성별은 꼭 써주세요.
네트워크 속도에 따라서 글 등록시까지 10초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조금만 기다리시면 글이 등록됩니다.
*질문내용을 선 아래 안쓰시고 제목에만 질문하시면 글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선 아래 질문 내용을 작성하세요. 위의 내용은 지우셔도 됩니다.
----------------------------------------
저는 29세 여자입니다. 23살부터 강박증상과 불안, 불면으로 신경안정제와 강박증약을 복용 중입니다. 계속 먹었던 것은 아니고 제가 증상이 좋아지면 성급하게 끊곤 해서 먹다 안먹다를 반복하며 지금까지 먹게 되었습니다. 저는 인지행동치료나 상담은 거의 효과가 없고 약물이 제게 효과적이라 생각되는데 그래도 언젠가는 약을 끊어야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을 드리게 됐습니다. 흔하게 듣는 얘기가 정신과에서 먹는 약은 그 때 뿐이고 약을 먹지 않으면 다시 돌아간다는 것입니다. 보통 다른 계통의 약 같은 경우는 대부분 원인을 제거하기 때문에 일정 기간 먹으면 될 거 같은데 (혈압약 제외하구요..) 정신과약은 예를 들어서 세로토닌 양이 부족하다고 약을 먹는데 세로토닌 양은 늘 분비되는 것인데 그 때 그 때 부족한 세로토닌을 보충할 수 있는 약을 먹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세로토닌이 분비가 적게 된 원인을 밝혀내서 그 원인을 치료하는 게 아니니까요..
제가 좋아졌다 안좋아졌다를 반복하는데 요즘 정말 안좋아서 죽고싶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고 괜히 남편과 다투기도 합니다. 그래서 제가 필요없다고 생각했던 상담을 해볼까 하는 생각도 하고 있고 그런 상황입니다. 제 궁금증을 좀 풀어주실 선생님이 꼭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무료 상담이라도 꼭 지나치지 마시고 아시는 것들을 좀 얘기해주세요..이 어플에서 그게 가능한 것인지 모르겠으나 가능하다면 꼭 사례도 하겠습니다.
네트워크 속도에 따라서 글 등록시까지 10초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조금만 기다리시면 글이 등록됩니다.
*질문내용을 선 아래 안쓰시고 제목에만 질문하시면 글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선 아래 질문 내용을 작성하세요. 위의 내용은 지우셔도 됩니다.
----------------------------------------
저는 29세 여자입니다. 23살부터 강박증상과 불안, 불면으로 신경안정제와 강박증약을 복용 중입니다. 계속 먹었던 것은 아니고 제가 증상이 좋아지면 성급하게 끊곤 해서 먹다 안먹다를 반복하며 지금까지 먹게 되었습니다. 저는 인지행동치료나 상담은 거의 효과가 없고 약물이 제게 효과적이라 생각되는데 그래도 언젠가는 약을 끊어야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을 드리게 됐습니다. 흔하게 듣는 얘기가 정신과에서 먹는 약은 그 때 뿐이고 약을 먹지 않으면 다시 돌아간다는 것입니다. 보통 다른 계통의 약 같은 경우는 대부분 원인을 제거하기 때문에 일정 기간 먹으면 될 거 같은데 (혈압약 제외하구요..) 정신과약은 예를 들어서 세로토닌 양이 부족하다고 약을 먹는데 세로토닌 양은 늘 분비되는 것인데 그 때 그 때 부족한 세로토닌을 보충할 수 있는 약을 먹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요? 세로토닌이 분비가 적게 된 원인을 밝혀내서 그 원인을 치료하는 게 아니니까요..
제가 좋아졌다 안좋아졌다를 반복하는데 요즘 정말 안좋아서 죽고싶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고 괜히 남편과 다투기도 합니다. 그래서 제가 필요없다고 생각했던 상담을 해볼까 하는 생각도 하고 있고 그런 상황입니다. 제 궁금증을 좀 풀어주실 선생님이 꼭 계셨으면 좋겠습니다. 무료 상담이라도 꼭 지나치지 마시고 아시는 것들을 좀 얘기해주세요..이 어플에서 그게 가능한 것인지 모르겠으나 가능하다면 꼭 사례도 하겠습니다.
불안장애 혹은 강박장애로 약물치료를 받고 계셨던 것 같은데요, 이러한 질환을 포함한 많은 정신건강의학과적 질환은 뇌 내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이것의 균형을 맞춰줄 수 있는 약물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물론 약물치료 대신에 인지행동치료나 정신치료의 형태로 치료가 진행되는 경우도 많고, 두 가지 형태의 치료가 병행되는 경우도 또한 많습니다.
물론 병리나 양상이 같지는 않지만 정신건강의학과적 치료를 쉽게 설명드리자면, 고혈압이나 당뇨 환자들이 약물을 지속적으로 복용하면서 증상의 조절 여부에 따라 약을 증량 혹은 감량하면서 지속적으로 경과 관찰을 받듯이, 정신건강의학과적 질환들도 호전과 악화를 반복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약물 혹은 인지, 정신 치료를 받으면서 경과 관찰을 꾸준히 받아야 합니다.
치료가 중단 되었고 이후 증상 조절이 잘 되지 않으신다면, 꼭 다시 정신건강의학과 병의원을 찾아 의사 상담 이후 치료를 재개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